
요근래 AI,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은 굉장히 뜨거워졌으며
차세대 산업을 이끌어갈 주자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해당 분야에 대한 특허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본인들의 기술을 특허로 등록하고자 하는 수요 또한 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AI특허등록과 절차, 요건 에 대해서 글을 다루어 보려 합니다.
대한민국에서 지식재산권은 선출원주의를 따릅니다.
Q. 선출원주의란
A. 가장 먼저 출원한 자에게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선출원주의에 따라 여러분이 특허를 먼저 출원하지 않는다면
여러분의 AI특허등록은 결국 권리로 이어질 수가 없는 것이죠.
그렇기에 특허로 등록을 원하신다면, 빠른 상담과 빠른 결정이 필요한 것입니다.
당소 같은 경우 변리사가 직접 빠른 상담을 진행하며, 주말 및 야간에도 상담이 가능합니다.
AI라고 절차가 다르거나 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절차와 비슷합니다.
동일하게 선행기술조사 -> 출원 -> 심사 / 심사청구 -> 공고 -> 등록 의 절차를 필요로 하는데요
여기서 심사청구란, 특허권 같은 경우는 타 지식재산권과 다르게 심사청구를 진행해야 심사가 진행이 됩니다.
만약 청구없이 3년이 지난다면 취하한 것으로 간주되어 심사가 진행이 되지 않죠.
해당 점을 꼭 유의하시어 AI특허등록 절차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
또, 진행 간에 의견제출통지서나, 이의신청과 같은 등록의 장애물을 만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답변이 적절치 못하였다거나, 선행기술조사가 미흡하다면 특허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진행 전 변리사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조언 드립니다.
이번에는 AI특허등록을 위한 조건에 대해 말씀드려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특허가 등록되기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바로 1)신규성 , 2)진보성 , 3)산업상 적용가능성 이죠.
이를 AI 기술에 접목하여 조건을 판단해보자면
1) 해당 AI 기술이 사전에 공개되었거나 이미 존재해서는 안되며
2) 이전보다 기술이 진보되었고, 쉽게 고안 / 발명할 수 없는 기술이어야 하며
3) 해당 기술이 산업에 적용이 가능해야 합니다.
해당 조건에 대한 판단은 가급적 정확하게 그리고 전문적으로 진행할 것을 권해드리고 있는데요,
조건이 미흡하다면 등록이 거절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나 AI특허등록 시 유사한 기술을 찾기 위한 선행기술조사시 변리사를 통한다면
보다 정확하게 가능하여 등록의 가능성을 올릴 수 있다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AI특허등록 같은 경우 최근에 화제가 되면서 해당 과정에 대해 다소 난해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경험과 경력을 보유한 변리사의 도움을 통해 진행하여 그 등록의 가능성을 올리는 것이 중요한데요.
상담을 통해 믿을 수 있는 변리사와 함께 하실 것을 조언 드립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면책공고
개인정보 수집 동의
지식재산 소식 제공 및
뉴스레터 수신 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