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허로상표등록 이것만 알아도 등록 가능성 UP
안녕하세요, 특허법인 테헤란입니다.
“우리 회사는 특허도 있으니까, 그 기술 이름으로 상표도 등록하면 되겠죠?”
실제로 특허 기술 이름을 상표로 등록하려는 분들이 많은데요,
모든 특허명이 상표로 등록되는 건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특허 기반 상표등록’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꼭 알아야 할 핵심 사항 10가지를 정리해 드립니다.
1. 특허 명칭이라고 상표 등록이 보장되는 건 아닙니다
특허 명칭은 기술 설명을 위한 것이고, 상표는 소비자가 상품의 출처를 인식하는 도구입니다.
기술 용어나 일반 명칭을 그대로 상표로 출원하면 식별력 부족으로 거절될 수 있습니다.
2. 기술적 설명 용어는 식별력이 약합니다
예를 들어 ‘이중코팅 열전달장치’ 같은 특허 제목은 상품명을 설명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상표로는 너무 일반적이어서 등록이 어렵습니다.
차라리 고유한 브랜드명으로 구성해 출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3. 특허 이름이 곧 브랜드가 되려면 창의성이 필요합니다
기술에 이름을 붙일 때, 간결하면서도 고유한 표현, 발음 가능한 조합, 기억하기 쉬운 단어를 고민해보세요.
예: 'SmartFilter™', 'NanoFlex™' 등은 기술성과 브랜드성을 동시에 잡은 사례입니다.
4. 상표는 결국 ‘사용자 인식’이 핵심입니다
상표 심사에서 중요한 것은 소비자가 이 이름을 듣고 ‘특정 회사의 상품’으로 인식하느냐입니다.
단순한 기술 설명만으로는 이 인식 기능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수 있습니다.
5. 출원 전, 상표 검색은 필수입니다
특허 이름이 멋지더라도, 유사한 이름의 상표가 이미 등록되어 있다면 거절 사유가 됩니다.
출원 전에 키프리스(KIPRIS)에서 동일·유사 상표를 검색해보세요.
선행 상표 충돌 여부를 사전에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기술 명칭 + 고유어 조합 전략을 써보세요
기술적 요소를 담고 싶다면, 기술 용어 + 브랜드성 단어를 조합하는 방식이 유리합니다.
예: ‘ThermoGuard’, ‘EcoFix’, ‘BioCare’ 등
설명성과 식별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네이밍이 핵심입니다.
7. 상품류(클래스) 지정도 전략적으로 해야 합니다
특허기술과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 분류를 정확히 지정해야 상표 보호 범위가 적절하게 설정됩니다.
기술명과 무관한 상품류로 출원하면 심사에서 거절되기 쉽습니다.
8. 특허 출원일과 상표 출원일은 별개로 움직입니다
특허 출원 후 1년이 지나면 기술 내용이 공개됩니다.
그 전에 상표도 출원해 두지 않으면, 기술 명칭이 일반화되어 상표 등록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특허와 상표는 함께 출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안전합니다.
9. 상표로서 사용 실적이 있으면 유리합니다
이미 제품에 표시해 사용 중인 경우,
사용 증거(포장지, 광고물, 영수증 등)를 제출하면 식별력 부족 상표도 일부 등록 가능성이 생깁니다.
실사용 입증은 심사에서 강력한 보완 수단이 됩니다.
10. 전문가의 ‘브랜드성 판단’이 결정적입니다
특허 기술명으로 상표를 등록하고 싶다면, 단순한 서류 제출보다 브랜드 전문가 또는 변리사의 의견을 먼저 받아보세요.
식별력, 유사상표 여부, 네이밍 전략까지 함께 설계하면 등록 가능성은 눈에 띄게 올라갑니다.
특허가 있다고 상표까지 자동으로 확보되는 건 아닙니다.
기술력은 곧 자산이지만, 제대로 된 네이밍과 상표 전략이 함께 따라줘야 브랜드 보호와 수익화까지 연결됩니다.
특허법인 테헤란은 특허 기반 상표 출원, 기술브랜드 전략, 유사상표 회피 설계까지
실무 경험과 분석을 바탕으로 등록 가능성을 높여드립니다.
기술의 이름에, 진짜 브랜드 가치를 입히고 싶다면 지금 바로 상담하세요!
개인정보처리방침
면책공고
개인정보 수집 동의
지식재산 소식 제공 및
뉴스레터 수신 동의